“무려 30년 넘게.. 자식잃은 부모심정이 오죽하겠습니까” 본인이 직접 ‘실종아동 650명’ 부모에게 찾아준 각설이 탐정

1991년 6월, 인천 월미도에서 거지 분장을 한 세 명의 각설이패가 공연을 하고 있었습니다. 그날 각설이 공연을 보기 위해 약 200여명의 관객들이 모였습니다.

한창 놀던 각설이들이 잠시 쉬고 있을 때, 무대 한쪽에서 전단지를 배포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그 사람들은 개구리 소년들의 아버지였습니다. 슬픈 표정의 아버지들은 “우리 아들을 꼭 찾게 해달라”며 간곡히 호소했습니다.

나주봉씨는 그때 전단지 500장을 받아 배포하면서 자신의 운명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나씨는 자신의 사비를 들여 전단지 2만장을 추가로 제작해 돌리기도 했습니다.

그는 개구리 소년들의 가족들을 찾기 위해 전국을 돌며 소년들의 사진이 담긴 1.5톤 트럭을 운전하기도 했습니다.

나씨는 누구보다 빠르게 어린이 실종 사건의 장소에 찾아가고, 자신의 노력으로 실종된 아이들 중 600명 이상을 찾아내기도 했습니다.

그는 물건 파는 것 보다 아이들을 찾는 일에 더 매달렸다. ‘어린이 실종’이 있을 때는 누구보다 먼저 찾아갔다. 1991년 1월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이형호군(9)이 유괴됩니다.

이군은 사건 발생 44일 후인 그해 3월13일에 잠실대교에서 서쪽으로 약 1.5 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배수로(일명 ‘토끼굴’)에서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당시 언론에서는 이군 유괴범을 공개 수배하기도 했습니다. 나 씨는 TV방송을 본 후 강남경찰서로 달려가 범인의 목소리가 녹음된 테이프(일명 그놈 목소리)를 입수한다. 자비로 테이프를 제작해 전국을 다니면서 배포했습니다.

4년 동안 3천600여만원을 들여 테이프 6만개를 만들었고, 범인을 잡기위해 직접 나섰다. 경찰은 그에게 ‘각설이 탐정’이라는 별명을 붙여줬습니다.

하지만, 1991년 1월 강남구 압구정동에서 유괴된 이형호군(9)은 발견되지 않았고, 이 사건의 범인도 잡히지 않아 미제사건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나주봉씨는 전국미아실종가족찾기시민의모임(전미찾모)을 만들었고, 단체의 회장을 맡게 되었습니다.

나씨는 전국에서 100만 장 이상의 전단지를 만들어 뿌리며, 2001년에는 ‘제13회 서울시민대상’을 수상하게 됩니다. 매년 개구리 소년들이 실종된 날에는 대구 달서구 와룡산에서 추모제를 지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