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현재가치 2조원, 전재산 바쳐 일제시대 광복군 길러낸 독립운동가, 87년만에 첫 추모제 열려..

지난 16일에는 경기도 남양주시 학도읍에 위치한 ‘이석영 뉴미디어 도서관’에서 독립운동가인 이석영 선생을 추모하는 행사와 함께 늦은 장례식이 열렸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이석영 선생은 가족들과 함께 1910년 12월에 만주로 떠나, 양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남양주 일대의 땅을 팔아 신흥무관학교를 설립했습니다.

그 당시 땅을 판 값은 40만원으로 현재의 가치에 따르면 약 2조원에 해당합니다. 신흥무관학교는 김원봉 등 3500여 명의 항일 투사를 배출하며 해방 이전까지 독립전쟁을 주도했습니다.

하지만 윤봉길 의사의 암살 이후 일제의 박해가 심해졌습니다. 이석영 선생은 1918년 일제의 지명수배를 받아 중국에서 빈곤하게 생활했으며, 1927년에는 가족들이 일제에 몰살당한 아픔을 겪었습니다.

1934년 2월 16일, 이석영 선생은 상하이 빈민가의 다락방에서 쓸쓸하게 돌아가셨습니다. 그 당시 아들 역시 독립운동을 하다가 희생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였습니다.

이석영 선생은 상하이 공동묘지에 임시 안치됐지만, 직계 후손이 없어 장례식이 열리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공동묘지 일대가 개발되면서 유해가 사라졌습니다. 그러나 87년 만인 작년 대한민국에서 이석영 선생의 첫 번째 추모식과 장례식이 열렸습니다.

우동 이회영 선생과 이시영 초대 부통령 등 다른 형제들과는 달리, 이석영 선생은 오랫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석영 선생은 1991년에 건국훈장을 받았으며, 작년에는 정부에서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기도 했습니다.

추모식에서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이석영 선생님은 당시 최고의 재산가로, 평생 편안하게 부를 누릴 수 있었지만, 나라가 일제에 의해 병탄되자 결연히 모든 기득권을 포기하고 가산을 팔아 망명길에 올라갔습니다.

그리고 그 가산을 모두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투쟁의 간성을 양성하는 데 투자했습니다”라며 추모했습니다.